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App Inventor/Aduino] 스마트 마스크 쓰레기통 ◎ 연구 주제 - 일회용마스크들이 길거리에 무분별하게 버려져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과정에 있어서 보다 안전할 수 있으며, 이를 수거하는 데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제품의 개발. ◎ 연구 배경 -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일회용마스크의 사용이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성질로 만들어진 일회용마스크가 길거리에 아무렇지 않게 나뒹구는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고자 생각한 아이디어로, 길거리마다 일회용마스크수거함을 비치하는 것을 목표. ◎ 연구 수행 내용 - 바이러스의 감염이 우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초음파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거함의 뚜껑이 열리도록 수거함을 설계하였다. 초음파센서를 통해, 아두이노 코딩 .. 2022. 11. 17.
[C/자료구조] 하노이탑 문제 하노이탑이란? 퍼즐의 일종이다. 세 개의 기둥과 이 기둥에 꽂을 수 있는 크기가 다양한 원판들이 있고, 퍼즐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 기둥에 원판들이 작은 것이 위에 있도록 순서대로 쌓여 있다. 하노이탑의 조건 한 번에 한개의 원판만 옮길 수 있다. 맨 위에 있는 원판만 이동할 수 있다. 크기가 작은 원판위에 큰 원판이 쌓일 수 없다. 중간의 막대를 임시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앞의 조건들을 지켜야 한다. 이제 문제 자체는 이해했으니, 이를 체계적으로 정의해보자. "체계적"이라함은, 문제의 입력과 출력을 보다 함수에 가깝게 정의하자는 것이다. 우리는 "원반의 이동횟수를 최소화하고자 할 때, 각 원반을 옮기는 모든 순서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각 이동의 출력은 '3번 원반을 A에서 C와 같이로 정하며.. 2022. 10. 22.
[C/자료구조] 재귀함수를 이용한 피보나치 수열과 반복문을 이용한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열이란? 피보나치 수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열에서는 앞의 두 개의 숫자를 더해서 뒤의 숫자를 만든다. 정의에 따라 수열을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 피노나치 수열은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Fivonacci)가 발견한 수열로서 한 쌍의 토끼가 번식하는 상황을 수열로 만든 것이다. 피보나치 수열은 수학과 과학의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정의 자체가 순환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현 시에 순환 호출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방법이다. 피보나치 수열을 재귀함수로 이용하여 프로그램해 보면 다음과 같다.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 2022. 10. 21.
[Windows/C] CreateProcess, CreatePipe 함수로 CMD COMMAND 실행하고 결과읽기 Process A ---------------> Process B (부모 프로세스) CreateProcess에 의한 생성 (자식 프로세스) CreateProcess의 구조 Reference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ms682425(VS.85).aspx BOOL CreateProcess ( LPCTSTR lpApplicationName, // 생성될 프로세스의 이름 LPTSTR lpCommandLine, // 생성될 프로세스에 인자 전달(변수만 가능) LPSECURITY_ATTRIBUTES lpProcessAttributes, // 프로세스의 보안 속성 지정 LPSECURITY_ATTRIBUTES lpThreadAttributes, // 쓰레드의 보안 속성.. 2022. 8. 26.